본문

정보마당

HOME > 정보마당 > 지침 >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8 건

  • 목차
    제 1 부 공공기관 해외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개요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연구내용

    제Ⅱ장 공공기관 해외투자 현황
     제1절 해외투자사업의 특성
     제2절 공공기관의 해외투자

    제Ⅲ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추진방향 및절차
     제1절 추진방향
     제2절 추진절차

    제 2 부 해외인프라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제Ⅳ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해외인프라사업 법률 검토 시 주안점
     제4절 프로젝트 파이낸스 계약
     제5절 기업인수계약

    제Ⅴ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화력발전사업
     제2절 수력발전사업
     제3절 신재생 발전사업

    제Ⅵ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개요
     제2절 시장 분석
     제3절 매출액 추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정책성 평가

    제Ⅴ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화력발전사업
     제2절 수력발전사업
     제3절 신재생 발전사업

    제Ⅵ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개요
     제2절 시장 분석
     제3절 매출액 추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정책성 평가
     제3절 국내경제 파급효과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사업의 재무성 평가
     제2절 재무안정성 평가
     제3절 수익성 평가 시 추가 검토사항
     제4절 해외사업 위험도 평가

    제Ⅸ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
     제2절 AHP 분석과정
     제3절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제 3 부 해외자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제Ⅹ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조사의 주요 쟁점
     제3절 법률 검토의 주안점

    제?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국내경제 파급효과

    제?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주요 기술 검토 사항
     제2절 총사업비 추정
     제3절 운영비 산정
     제4절 기타 고려사항

    제ⅩⅢ 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매장량 및 생산량 추정
     제2절 자원가격 추정 방법
     제3절 매출액 추정방법

    제XIV장 수익성 및 사업 안정성 평가
     제1절 수익성 평가
     제2절 재무적 할인율 추정
     제3절 사업 안정성 평가

    제ⅩⅤ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해외자원사업의 AHP 평가방법
     제2절 조사 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목차
    제 1 부 연구 및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의 의의 및 활용
     제3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제Ⅱ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 근거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절차 및 내용

    <제 2 부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제Ⅲ장 사업의 개요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추진 경위 및 근거
     제3절 사업의 내용

    제Ⅳ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의 분석
     제2절 조사의 주요 쟁점

    제Ⅴ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사업계획의 적절성 및 기술적 검토
     제2절 공사비 및 운영비 추정
     제3절 보상비

    제Ⅵ장 수요 및 편익 추정
     제1절 수요 및 편익 추정의 개요
     제2절 수요 및 편익 추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경제성 평가
     제2절 정책성 분석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수익성 평가 개요
     제2절 재무성 분석방법
     제3절 재무성 평가
     제4절 재무안정성 평가

    제Ⅸ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의 개요
     제2절 AHP를 활용한 종합판단
     제3절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목차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연구내용

    제Ⅱ장 공공기관 해외투자 현황
     제1절 해외투자사업의 특성
     제2절 공공기관의 해외투자

    제Ⅲ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추진방향 및 절차
     제1절 추진방향
     제2절 추진절차

    제Ⅳ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해외인프라사업 법률 검토 시 주안점
     제4절 프로젝트 파이낸스 계약
     제5절 기업인수계약

    제Ⅴ장 기술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화력발전사업
     제2절 수력발전사업
     제3절 신재생 발전사업

    제Ⅵ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개요
     제2절 시장 분석
     제3절 매출액 추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정책성 평가
     제3절 국내경제 파급효과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사업의 재무성 평가
     제2절 재무안정성 평가
     제3절 해외사업위험요인 분석

    제Ⅸ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
     제2절 AHP 분석과정
     제3절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제Ⅹ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조사의 주요 쟁점
     제3절 법률 검토의 주안점

    제XI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국내경제 파급효과

    제XⅡ장 기술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주요 기술 검토 사항
     제2절 총사업비 추정
     제3절 운영비 산정
     제4절 기타 고려사항

    제XⅢ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매장량 및 생산량 추정
     제2절 자원가격 추정 방법
     제3절 매출액 추정방법

    제XⅣ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재무적 할인율 추정

    제XV장 사업 안정성 평가
     제1절 석유·가스 개발사업

    제XⅥ 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해외자원사업의 AHP 평가방법
     제2절 조사 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목차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의 의의 및 활용
     제3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제Ⅱ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 근거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절차 및 내용

    제Ⅲ장 사업의 개요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추진 경위 및 근거
     제3절 사업의 내용

    제Ⅳ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의 분석
     제2절 조사의 주요 쟁점

    제Ⅴ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사업계획의 적절성 및 기술적 검토
     제2절 비용 추정

    제Ⅵ장 수요 및 편익 추정
     제1절 수요 및 편익 추정의 개요
     제2절 수요 추정 및 편익 산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경제성 평가
     제2절 정책성 분석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수익성 평가 개요
     제2절 재무성 분석방법
     제3절 재무성 평가
     제4절 재무안정성 평가
     제5절 해외사업의 위험도 평가

    제Ⅸ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의 개요
     제2절 AHP를 활용한 종합판단
     제3절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목차
    제1부 연구의 개요 및 지침의 의의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공기업·준정부기관 사업 일반지침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의 의의 및 위상
     제3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제Ⅱ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 근거
     제2절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절차 및 내용

    제2부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제Ⅲ장 사업의 개요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추진 경위 및 근거
     제3절 사업의 내용

    제Ⅳ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의 분석
     제2절 조사의 주요 쟁점사항

    제Ⅴ장 기술적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사업계획의 적절성 및 기술적 검토
     제2절 비용 추정

    제Ⅵ장 수요 및 편익 추정
     제1절 수요 및 편익 추정의 개요
     제2절 수요 추정 및 편익 산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경제성 평가
     제2절 정책성 분석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수익성 평가 개요
     제2절 재무성 분석방법
     제3절 공공기관 사업의 재무성 평가
     제4절 사업수행기관의 재무안정성
     제5절 해외사업의 위험도 평가

    제Ⅸ장 종합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의 개요
     제2절 AHP를 활용한 종합판단
     제3절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 목차
    제Ⅰ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연구내용

    제1부 공공기관의 해외투자 현황

    제Ⅱ장 공공기관의 해외투자 현황
     제1절 해외투자사업의 특성
     제2절 공공기관의 해외투자

    제2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추진방향 및 절차

    제Ⅲ장 예비타당성조사의 추진방향 및 절차
     제1절 추진방향
     제2절 추진절차

    제3 부 공공기관 해외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제Ⅳ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Ⅴ장 기술 검토 및 비용 추정
     제1절 업무흐름 및 유의점
     제2절 주요 기술 검토 내용
     제3절 수익성 평가를 위한 비용 추정

    제Ⅵ장 수요 및 매출 추정
     제1절 개요
     제2절 시장 분석
     제3절 매출액 추정
     제4절 산업별 매출 추정

    제Ⅶ장 공공성 평가
     제1절 공공성 평가의 개요
     제2절 정책성 평가
     제3절 국내경제 파급효과

    제Ⅷ장 수익성 평가
     제1절 사업의 재무성 평가
     제2절 사업수행기관의 재무안정성
     제3절 해외사업위험요인 분석

    제Ⅸ장 종합평가: 분석적 계층화법(AHP 기법)
     제1절 다기준 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 기법
     제2절 AHP 분석과정
     제3절 조사 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성과관리와 재정사업 심층평가
     제1절 성과관리
      1. 성과관리의 의의와 절차
      2. 성과관리의 수단
      3. 성과정보의 활용
       가. 사업설계 및 추진방법의 합리화
       나. 예산배분의 효율성 제고
       다. 책임성의 확보
     제2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추진체계
     제3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주요 논점
      1. 사업평가의 특성
      2. 사업의 개입논리
      3. 사업평가의 주요 평가요소
       가. 세 가지 단계
       나. 다섯 가지 평가요소
       다. 사중손실ㆍ대체효과ㆍ치환효과
      4. 사업평가의 종류
       가. 운영평가와 효과평가
       나. 중간평가와 사후평가
       다.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제Ⅲ장 재정사업 심층평가를 위한 기초작업
     제1절 사업내용의 파악
      1. 사업개요
      2. 사업전달체계
      3. 사업예산
      4. 사업성과
      5. 유사사업
     제2절 사업목적과 개입논리의 파악
      1. 사업목적의 파악
      2. 개입논리의 파악
     제3절 해외사례 조사
     제4절 평가의 쟁점ㆍ목적ㆍ범위의 설정
      1. 주요 쟁점의 파악
      2. 평가목적의 설정
      3. 평가범위의 설정

    제Ⅳ장 적절성 평가
     제1절 정부역할로서의 적절성 평가
      1. 사유재산권의 보호
      2. 시장실패의 교정
       가. 시장실패의 이유
       나. 죄수의 딜레마로서의 시장실패
       다. 정부의 직접적 개입이 갖는 한계
       라. 민간을 통한 공공서비스의 공급
       마. 소 결
      3. 가치재의 공급
       가. 가치재의 개념적 근거
       나. 문화예술부문에 대한 정부지원
       다. 소 결
      4. 소득과 부의 재분배
       가. 재분배정책의 의미
       나. 재분배정책의 수단
       다. 재분배정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라. 복지국가의 발전단계마. 여러 가지 사회모형
       바. 경제사회여건의 통화정책
       다. 환율정책
       라. 재정정책
       마. 소 결
     제2절 지방정부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의 적절성 평가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분담
       가. 재정대응성: 외부효과와 내부효과
       나. 추가적인 고려사항
       다. 역할분담과 사업형태의 적정성 평가
      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적 관계
       가. 외부효과의 시정
       나. 지역 간 재정력 격차의 해소
       다. 조세제도의 효율성 증진
     제3절 정부역할 수행방법에 대한 적절성 평가

    제Ⅴ장 효과성 평가
     제1절 성과지표 및 비교기준의 설정
      1. 바람직한 성과지표의 성격
      2. 투입ㆍ산출ㆍ결과ㆍ효율성지표
      3. 비교기준
     제2절 평가모형의 수립
      1. 평가모형의 종류
       가. 이상적인 평가모형
       나. 무작위 실험모형과 준실험모형
       다. 암묵적 모형
       라. 인과관계 분석의 정당성
      2. 무작위 실험모형
       가. 고전적 무작위 비교모형
       나. 사후 무작위 비교모형
       다. 무작위 구획설정모형
       라. 장점과 단점
      3. 準실험모형
       가. 사업시행 전후 비교모형
       나. 시계열모형
       다. 사업시행 후 분석모형
       라. 장점과 단점
      4. 암묵적 모형
       가. 사업시행 후 이론적 비교집단모형
       나. 사업시행 후 소급측정모형
       다. 사업시행 후 차이측정모형
       라. 사례분석
       마. 장점과 단점
      5. 요 약
     제3절 자료수집
      1. 자료의 종류
      2. 자료수집방법
       가. 문헌조사
       나. 문서검토
       다. 외부통계의 활용
       라. 설문조사
       마. 전문가의견조사
       바. 자연관측
       사. 전문관찰
       아. 특수측정기계
       자. 내용검토
     제4절 분석방법
      1. 통계분석
       가. 기술적 통계분석
       나. 통계적 추론
      2. 비용편익분석 및 비용효과분석
      3. 조건부 가치추정모형 및 컨조인트 분석법
      4. 여러 가지 모형의 사용
       가. 시뮬레이션모형
       나. 거시경제모형
       다. 미시경제모형
       라. 투입산출모형
      5. 정성적 정보의 분석
      6. 중장기적 사업결과의 분석
     제5절 효용성 및 지속 가능성 평가
      가. 효용성 평가
      나. 지속 가능성 평가

    제Ⅵ장 사업체계 분석

    참고문헌

    【부록】 성과지표의 설정이 어려운 경우에 대한 대처방안
  • 재정사업 심층평가 지침
    고영선2006.04
    목차
    요 약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성과관리와 재정사업 심층평가
     제1절 성과관리
      1. 성과관리의 의의와 절차
      2. 성과관리의 수단
     제2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추진체계
     제3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주요 논점
      1. 사업평가의 특성
      2. 사업의 개입논리
      3. 사업평가의 주요 평가요소
      4. 사업평가의 종류

    제Ⅲ장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수행
     제1절 기초작업
      1. 평가목적 및 범위의 설정
      2. 개입논리의 파악과 분석의제의 설정
     제2절 평가모형의 수립
      1. 평가모형의 종류
      2. 무작위 실험모형
      3. 準실험모형
      4. 암묵적 모형
      5. 인과관계 모형
      6. 요 약
     제3절 자료수집
      1. 자료의 종류
      2. 자료수집방법
     제4절 분석방법
      1. 통계분석
      2. 정성적 정보의 분석
      3. 중장기적 사업결과의 분석
      4. 여러 가지 모형의 사용
      5. 비용편익분석 및 비용효과분석
     참고문헌
    【부록】 성과지표의 설정이 어려운 경우에 대한 대처방안
      1. 성과지표의 설정이 특별히 어려운 경우의 예
      2.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정량적 자료
      3. OMB가 제시하는 대처방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