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장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제3절 사업의 내용
제Ⅱ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 분석
1. 교통 현황 분석
2.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3.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제2절 상위 및 관련 계획의 검토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쟁점
제4절 대안 및 시나리오 설정
제Ⅲ장 비용 추정
제Ⅲ-1장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 요
1. 비용 추정의 기본 방향
2. 도로설계기준
제2절 총사업비 추정
1. 공사비 추정
2. 부대비 추정
3. 용지보상비 추정
4. 예비비 추정
5. 총사업비 집계
제3절 유지관리비 추정
1. 유지관리비 적용현황
2. 유지관리비 추정
제Ⅲ-2장 철도부문 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 요
1. 비용 추정의 기본방향
2. 비용 추정의 정의
3. 철도부문 사업의 유형
제2절 비용 산출기준
1. 비용의 분류 및 추정방법
2. 비용 추정 결과 적용의 한계성
제Ⅲ-2-1장 일반철도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 요
1. 노선의 유형 및 기능
2. 시설기준
3. 사업별 건설비 세부 항목
제2절 일반철도 총사업비 추정
1. 일반철도 건설사업의 유형
2. 일반철도 건설사업의 유형별 공사비 산정원칙
3. 공사비의 추정
4. 부대비 및 기타 비용 적용
5. 용지보상비 추정
6. 예비비
7. 차량구입비 추정
8. 총사업비 집계
9. 연차별 투입계획
제3절 운영비 추정(일반철도)
1. 개 요
2. 운영비용 산정기준의 문제점
3. 운영비용 산정기준의 개선
4. 대체투자비 및 잔존가치
제Ⅲ-2-2장 광역 및 도시철도 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 요
제2절 유형별 적용 및 설계기준
1. 광역 및 도시철도 사업의 계획
2. 광역 및 도시철도의 설계기준
제3절 광역 및 도시철도 총사업비 추정
1. 분석의 범위
2. 사업의 유형
3. 광역 및 도시철도의 공사비 추정
4. 부대비, 용지보상비, 예비비 및 기타 비용
5. 광역 및 도시철도의 차량구입비
6. 총사업비 집계
7. 연차별 투입계획
제4절 운영비 추정(광역 및 도시철도)
1. 개 요
2. 운영비 추정과정
3. 인건비 산정
4. 동력비 추정
5. 유지관리비 추정
6. 일반관리비 추정
7. 연간 운영비 집계
8. 대체투자비 및 잔존가치
9. 총운영비 집계표
제Ⅳ장 교통수요 추정
제1절 개 요
제2절 교통수요 추정과정과 기본 전제조건
1. 교통수요 추정과정
2. 기본 전제조건
제3절 기본자료 설정
1. 기본자료
2. 전국 지역 간 자료
3. 수도권 자료
4. 광역권 자료
제4절 분석 범위 설정
1. 시간적 범위의 설정
2. 공간적 범위의 설정
3. 분석대상권을 벗어난 외부 지역
제5절 기본자료의 수정
1. 도로부문 사업의 존 세분화 및 세분 O/D 구축
2. 철도부문 사업의 존 세분화
3. 도로 네트워크 수정 및 보완
4. 철도 네트워크 수정 및 보완
5. 장래 통행발생량 및 통행분포량 조정
제6절 수단선택
1. 수단선택모형
2. 수단선택모형의 보정
제7절 통행배정
1. 통행배정의 기본전제
2. 도로부문 통행배정
3. 철도부문 통행배정
제8절 통행배정모형의 정산
1. 도로 통행배정모형의 정산
2. 철도 통행배정모형의 정산
제9절 장래 교통수요 추정
1. 장래 도로수요 추정
2. 장래 철도수요 추정
제Ⅵ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개 요
제2절 경제성 분석의 주요 전제
제3절 기타 고려 사항
1. 대체투자비 및 잔존가치의 처리
2.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제4절 민감도 분석
제5절 경제성 분석 결과의 제시
제Ⅶ장 재무성 분석 및 민자연계방안
제1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제2절 기본전제
1. 사업의 투자방식
2. 분석 기준연도, 분석기간 및 공정률
3. 잔존가치
4. 제세공과금, 금융비용 및 이자율
5. 부대사업
제3절 분석기법
제4절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1. 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정의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원칙
3. 수입과 비용 추정을 위한 지침
제5절 재무적 할인율 산정
1.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2.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3.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4. 실질 할인율의 계산
제6절 민자연계방안
1. 검토의 배경 및 목적
2.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민간투자 가능성 검토
제Ⅷ장 정책적 분석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1. 지역균형발전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4. 사업특수 평가항목
부 록
<부록 1> 철도 관련 용어 해설
<부록 2> 비용 산출 적용사업 및 문헌의 분석
<부록 3> 고속철도 km당 철도건설단가
<부록 4> 서울지하철 9호선, 대구지하철 2호선 터널내공치수
<부록 5> 지하철 영업현황
<부록 6> 경제적 비용에 대한 검토
<부록 7> 지하부분 용지비 산출(예)
<부록 8> 영세율 적용
<부록 9> 경량전철 시스템별 특성비교
<부록 10> 도로 부문사업의 영향권 설정 사례
<부록 11> 철도부문 사업의 영향권 설정 사례
<부록 12> 분석대상권 확대에 따른 수렴성 저하현상 검토
<부록 13> 외부존 설정과 Sub-area O/D 구축방법
<부록 14> 관광수요 고려방법
<부록 15> 광역권별 기·종점 간 재차인원
<부록 16> 통행배정의 기본시간 단위
<부록 17> 교통량-지체함수로서의 BPR 함수 적용 시 고려 사항
<부록 18> 감가상각비 산정을 위한 차종별 차량가격 산출
<부록 19> 화물시간가치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부록 20> 철도부문 사업 관련 참고 자료
제1장 서론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 사전 검토의 필요성
2. 기존 정보화사업 평가의 한계
3. 예비타당성조사의 법적 근거 및 의의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의 방법론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사전준비
1. 중복성 검토의 필요성 및 절차
2.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제2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추진 경위 및 추진주체
3. 사업의 내용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조사의 쟁점 도출
제3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기술적 타당성 분석의 평가체계
제2절 정보시스템 범위 분석
1. 필요성 및 절차
2. 신규 정보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
3. 프로젝트의 범위 검토
4. 분석결과의 정리
제3절 IT 시장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검토
1. IT 시장성숙도 부합성의 평가 배경
2. 정보기술영역 분류 및 평가대상 정보기술 선정
3. 기술 요소별 시장성숙도 분석
4. 기술 요소별 도입 및 활용수준 분석
5. 정보화 방향성과의 부합성 검토 및 정보화 목표에 대한 기여도 평가
6. 전체적인 분석결과 도출
제4절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1.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개요
2.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의 틀
3.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제5절 상호운용성 및 재사용체계 평가
1. 상호운용성 평가 배경
2. 상호운용성 분석 방법
3. 상호운용성 검토를 위한 기본 원칙과 표준
4. 재사용체계 분석 방법
5. 재사용체계 평가관점
제6절 사업수행 준비도 평가
1. 개요
2. 프로젝트 조직 구성
3.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의지
4. 시스템 운영 및 관리 능력
5. 기술의 외부 의존도
6. 준비 정도 종합평가
제7절 기술적 위험 분석
1. 개요
2. 위험 요인 분석
3. 위험 평가
제8절 시스템 용량 산정의 적정성 검토 78
1. 개 요
2. 용량산정 개념 및 대상
3. 용량산정의 절차
4. H/W 요소별 용량산정 방식
5. 용량산정 사례
제4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목적
2. 분석의 틀
3. 고려사항
제2절 편익 추정
1. 편익의 식별 및 분류
2. 편익 항목선정
3. 편익의 측정 방법
제3절 비용추정
1. 개요
2. 비용 요소의 분석
3. 정보화사업 비용의 추정 방법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1. 평가 방법
2. 경제성 분석 절차 및 과정
3. 민감도 분석
제5절 재무적 타당성 분석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2. 분석기법
3. 비용과 수입의 추정
4. 재무적 할인율 산정
5.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제5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의의
2. 분석의 틀
제2절 분석의 기준 및 내용
1. 상위계획과의 관련성
2. 관련정보화 사업과의 연계효과
3.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4. 관련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5. 사업추진 의지 및 관련기관 협조체계
6. 조직혁신효과
7. 사업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8. 사업의 특수항목 평가
제6장 종합평가 :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2. AHP기법의 개요
3. 평가자 선정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대상 사업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concluding)
8.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정보화부문사업 예비타당성 시범조사 결과
부록 2. PulseNet 구축사업 AHP 평가를 위한 설문
부록 3. 비용추정 양식
부록 4. 사업계획서 작성 양식 예시
부록 5. 산업연관효과분석
제Ⅰ장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3. 사업의 내용
제Ⅱ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 분석
제2절 상위 및 관련 계획의 검토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쟁점
제4절 대안 및 시나리오 설정
제Ⅲ장 비용 추정
제Ⅲ-1장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요
1. 비용추정의 기본 방향
2. 도로설계기준
제2절 총사업비 추정
1. 공사비 추정
2. 부대비 추정
3. 용지보상비 추정
4. 예비비 추정
5. 총사업비 집계
제3절 유지관리비 추정
1. 유지관리비 적용현황
2. 유지관리비 산정
제Ⅲ-2장 철도부문 사업의 비용 추정
제1절 개요
1. 비용추정의 기본방향
2. 비용구성 항목
3. 철도설계 기준
제2절 지역간 철도건설사업의 비용 추정
1. 사업 유형 및 비용추정 방법
2. 총사업비 추정
3. 차량구입비 추정
4. 운행 및 유지관리비용 추정
제3절 도시철도 및 경전철 건설사업의 비용추정
1. 총사업비 추정
2. 차량구입비 산정
3. 운행 및 유지관리비용 추정
제Ⅳ장 교통수요 추정
제1절 개요
1. 공신력 있는 자료의 사용
2. 총통행 O/D의 불가변성
3.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법론의 적용
4. 교통수요 추정 과정
제2절 기본자료 설정
1. 기본자료
2. 전국기반 자료
3. 수도권 자료
4. 지방 5대 광역권 자료
제3절 분석 범위와 수준 설정
1. 시간적 범위의 설정
2. 공간적 범위의 설정
제4절 기본자료의 수정
1. 죤세분화 및 세분 O/D 구축
2. 기준연도 Network의 수정
3. 장래 O/D 및 Network의 수정
제5절 수단선택
제6절 통행배정
1. 통행배정의 전제
2. 통행배정 기본 원리와 교통량-지체함수(VDF)
3. VDF 함수의 적용
제7절 수단선택 및 통행배정 모형의 정산
1. 수단선택 모형의 정산
2. 통행배정 모형의 정산
3. Iteration 횟수에 따른 수렴여부 확인
제8절 장래 교통수요 추정
1. 장래 교통수요 추정
2. 추정결과의 제시
제Ⅴ장 편익 산정
제1절 개요
제2절 편익항목별 산정 방법
1. 차량운행비용 절감 편익
2. 통행시간 절감 편익
3. 교통사고 절감 편익
4. 환경비용 절감 편익
5. 공사중 교통혼잡으로 인한 부(-)의 편익
6. 철도건널목 개선 편익
7. 철도사업으로 인한 도로공간 축소에 따른 부(-)의 편익
8. 주차비용 절감 편익
9. 여객 쾌적성 편익
제3절 편익 산정 결과의 제시
제Ⅵ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경제성 분석의 주요 전제
제3절 기타 고려 사항
1. 잔존가치의 처리
2.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제4절 민감도 분석
제5절 경제성 분석 결과의 제시
제Ⅶ장 재무성 분석
제1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제2절 기본전제
1. 사업의 투자방식
2. 분석 기준년도, 분석기간 및 공정률
3. 잔존가치
4. 제세공과금, 금융비용 및 이자율
5. 부대(부속)사업
제3절 분석기법
제4절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1. 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정의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원칙
3. 수입과 비용 추정을 위한 지침
제5절 재무적 할인율 산정
1.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2.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3.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4. 실질 할인율의 계산
제6절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제Ⅷ장 정책적 분석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1. 지역균형발전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4. 사업특수 평가항목
제Ⅸ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2. AHP기법의 개요
3. 평가자 선정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대상 사업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제Ⅹ장 종합 및 정책 건의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도로사업의 공사비 분석자료
<부록 2> 교통지체함수의 파라미터 정산에 대한 연구
<부록 3> 도시철도 평균단가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 연구 범위
2. 연구 내용
제Ⅱ장 정부의 문화·과학시설에 대한 보조의 근거
제1절 개관
제2절 문화시설에 대한 정부 보조의 논거
1. 외부 효과
2. 후천적으로 습득된 기호(Acquired taste)
3. 문화예술 산업의 특성
4. 문화소비의 계층간 형평성 제고
5. 문화예술 부문에 대한 정부 보조에 대한 반대론
제3절 문화·과학시설 가치추정의 필요성
제1절 이태리 Napoli Musei Aperti 지역에 대한 가치추정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2절 나폴리의 로마제국유적에 대한 가치추정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3절 이태리의 카포디몬테 공원에 대한 가치추정 연구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4절 스페인의 국립조각박물관에 대한 가치추정 연구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5절 덴마크 코펜하겐의 왕립극장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6절 이태리의 두 예술 박물관의 비교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7절 일본 시즈오카음악관 AOI의 가치추정
1. 개요
2. 방법론
3. 결과
제8절 기존 예비타당성조사의 문화·과학시설 가치추정
제Ⅴ장 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제1절 박물관 시설의 가치추정
1. 속성의 수준 및 범위 결정
3. 설문지 작성
4. 표본설계와 설문조사방법
5. 추정모형
6. 분석결과
7. 추정결과의 활용방안
제2절 과학관 시설의 공익적 가치추정
1. 속성의 수준 및 범위 결정
2. 선택대안집합의 구성
3. 설문지 작성
4. 표본설계와 설문조사방법
5. 추정모형
6. 과학관 분석결과
7. 추정결과의 활용방안
제Ⅰ장 연구개요
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1. 일반지침의 역할
2. 일반지침 개정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1. 일반지침의 구성 및 연구방향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제1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3. 사업의 내용
4.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제2절 기초자료 분석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2.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제Ⅲ장 경제성 분석
제1절 수요 추정
1. 교통부문 사업
2. 수자원(댐)개발 사업
3. 기타 사업
제2절 편익 추정
1. 교통부문 사업
2. 수자원부문 사업
3. 기타 사업
제3절 비용 추정
1. 교통부문 사업
2. 수자원(댐)개발 사업
3. 기타 사업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1. 분석기법
2. 사회적 할인율 설정
4.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5. 분석기준일, 분석기간 등 기타
6. 잔존가치의 처리
7. 민감도 분석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2. 기본전제
3. 분석기법
4.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5. 재무적 할인율 산정
6.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제Ⅳ장 정책적 분석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1. 지역균형발전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4. 사업특수 평가항목
제Ⅴ장 종합평가 :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2. AHP기법의 개요
3. 평가자 선정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1.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수록을 위한 요약표
2. KDI 예비타당성조사 관리팀에 제출할 전산 자료
제2부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1. 기본원칙
2. 기준
3. 제약
제3절 비용·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1. 유형별 분류
2. 일반적 고려사항
3. 사업별 편익의 형태
제4절 비용·편익의 측정
1. 가치와 시장가격
2. 잠재가격의 개념
3. 잠재가격의 도출 : 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4. 잠재가격의 도출 : 불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5. 잠재가격의 도출 :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1. 공평성에 대한 고려
2. 사회적 가중치의 도출
3. 분석의 한계와 정책적 고려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1. 전통적 비용-편익 분석
2. 교역가격 접근법
3. 차선의 잠재가격 접근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 잠재가격과 평가가격의 개념구분
2. 교역가격 접근법의 타당성 검토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2.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3.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4.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분석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1. 사업부문별 차별화 방안의 필요성
2. 사업부문별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3.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의 차등 적용
4. 비용-편익 분석 기법 및 편익추정 방법 보완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1. 경제성 분석
2. 재무성 분석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1. 분석기법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 원칙
3. 추가적 쟁점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1. 재무적 할인율의 개념
2.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3. 자본비용의 추정
4. 재무구조와 가중평균자본비용
5. 기타 할인 방식에 대한 논의
6.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계산
7. 재무성 분석의 예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1.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및 지정 기준
2.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1. 민간투자사업 추진상의 문제점
2.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1. 영국의 사례
2. 일본의 사례
3. 소결 : 예비타당성조사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1. 현 일반지침의 한계
2.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제ⅩⅠ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1. 위험 분석에 관한 일반사항
2. 민감도 분석
3. 시나리오 설정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1. 전환값
2.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의 한계점
3. 몬테 칼로 분석
4. 몬테 칼로 분석과 현재가치의 기대값
5. 민감도 분석 및 몬테 칼로 분석의 한계
6. 의사결정 나무
7. 기타 위험분석 방법론(공공투자사업에 있어서 실물옵션 분석방법의 적용)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제ⅩⅡ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1. 지역기술계수 추정
2. 지역교역계수 추정
3. 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1. 모형의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 제고
2. 건설부문의 세분류(12개 부문)
3. 지역 및 국가경제의 파급효과 추정 가능
4. 이용자료의 양적 및 질적 수준 제고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1. 지역별 생산유발효과
2. 산업별 생산유발효과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제1절 개요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1. AHP 분석의 조기 수행
2. AHP 평가자의 확대
3. 교통부문(도로, 철도) 사업에 있어서 표준 가중치의 적용
4. 환류과정(feedback)의 강화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1. 계층구조의 설정
2. 복수 대안의 평가
3. 평점 기준 설정
4. 평점을 위한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5. AHP 민감도 분석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제1절 개 요
제2절 GRP의 추이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1. 사용자료와 변수
2. 추정방법
3. 추정결과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1. 사용자료와 변수
2. 추정방법
3. 추정결과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1. 사용자료와 변수
2. 추정방법
3. 추정결과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