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연구보고서 7,981 건

  • Economic Bulletin, December 2023
    KDI 경제정보... 54 P 2023.11
    PDF
    목차
    ■ Current Economic Trends
     Overview
     Economic Activity
     1. Gross domestic product
     2. Industrial output and composite index of business indicators
     3. Private consumption
     4. Facility investment
     5. Construction investment
     6. Exports and imports
     7. Employment
     8. Prices
      8.1 Consumer prices
      8.2 International oil and commodity prices
     9. Real estate market
      9.1 Housing market
      9.2 Land market
     Financial Markets
     1. Stock market
     2. Foreign exchange market
      2.1 Foreign exchange rates
      2.2 Foreign exchange reserves
     3. Bond market
     4. Money market
     Public Finance
     1. Fiscal balance
     2. National debt
     3. External debt

    ■ Economic News Briefing
     1. DPM Choo has bilateral talks with Executive Vice-President of European Commission
     2. Global firms pledge large-scale investment at Invest Korea Summit 2023
     3. Korea promotes Crypto-Asset Reporting Framework
     4. Korea celebrates GCF 10th anniversary

    ■ Statistical Appendices
  • 리쇼어링 기업의 특징과 투자의 결정요인
    정성훈 11 P 2023.11 KDI FOCUS
    PDF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우리나라와 해외의 리쇼어링 정책

    Ⅲ. 투자 유형에 따른 리쇼어링의 분류

    Ⅳ. 유형별 투자의 추세와 해당 기업들의 특징

    Ⅴ. 오프쇼어링과 리쇼어링 투자의 요인

    Ⅵ. 결론 및 정책제언
    요약
    리쇼어링 기업은 다국적 기업 중에서 규모가 작고 노동집약적이며, 생산성이 낮고 해외 생산 경험도 부족한 기업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국내 투자에 따른 고용 효과도 유사한 규모의 순수 국내 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정부 지원에 있어서는 오히려 더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 따라서 공급망 안정화, 국내 제조업 경쟁력 유지, 고용 촉진 등의 정책 목적은 해외 생산시설의 국내 복귀 여부에 관계없이 국내투자 인센티브의 강화를 통해 달성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과도한 생산 국제화로 인한 문제의 해결책은 ‘생산의 국내화’이지 ‘기업의 국내화’가 아니다.

    - 리쇼어링은 생산시설을 해외로 이전했던 기업의 국내 복귀를 뜻하며, 최근 들어 중요한 정책 사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그간 제대로 된 평가 없이 리쇼어링 정책이 시행되어 온 상황에서 본고는 리쇼어링 기업들의 주요한 특징을 파악하고, 이들의 리쇼어링을 촉진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현행 정책을 평가하였다.

    - 우리나라는 리쇼어링의 사전적 의미를 구체화한 선정 요건을 통해 정책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은 “유턴”과 같은 형식적 요건보다 전략산업 내 생산 능력 확보를 위한 전반적인 투자 촉진에 더 초점을 둔다.

    - 본고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투자 유형을 오프쇼어링과 리쇼어링을 포함한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중 리쇼어링은 해외에서는 투자를 회수 또는 유보하고 국내에만 투자한 경우에 해당된다.

    - 본고에서의 리쇼어링은 다국적 기업들이 과거 확장해 오던 해외투자 대신 국내에 투자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관점은 해외 주요국들이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리쇼어링의 개념과 일치한다.

    - 본고의 정의에 따르면, 국내 1,200개 다국적 제조기업 중 약 24%가 리쇼어링에 해당하는 투자를 시행한 바 있다.

    - 문제는 이들이 어떤 기업이며, 리쇼어링 이후 우리 경제에 어떻게 기여했는가이다.

    - 리쇼어링 기업 중 40%가량은 몇 년 후 다시 리쇼어링을 시행하였고, 약 30%는 유보 ·축소형 투자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중장기적 경쟁력이 우려된다.

    - 국내 리쇼어링 기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노동집약적이며, 생산성이 낮고 해외 생산 경험도 부족하여 향후 해외투자 확대 가능성이 작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경제에 대한 기여도도 낮을 가능성이 높다.

    - 리쇼어링의 결과, 해당 기업들의 고용은 연평균 약 2.3%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순투자액 대비 순고용은 10억원당 1.17명으로 확장형 기업(1.32명)이나 순수 국내기업(2.48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다국적 기업의 4가지 투자 유형을 결정하는 기업 내부의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그림 1]의 특성(규모, 생산성, 노동집약도 등)들이 실제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다국적 기업의 투자 유형 선택과 가장 연관성이 큰 외부 요인은 국내와 해외의 노동비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높은 국내 노동비용이 리쇼어링을 어렵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다.

    - 공급망 안정화, 제조업 경쟁력 유지, 고용 촉진 등의 정책 목적은 ‘해외 생산시설의 국내 회귀(리쇼어링)’ 여부에 관계없이 국내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생산의 국제화가 문제의 원인이라면 그 해결책은 ‘생산의 국내화’이지 ‘기업의 국내화’가 아니다.
  • KDI 경제전망, 2023 하반기
    한국개발연구원 172 P 2023.11 KDI 경제전망
    PDF
  • KDI 경제동향 2023. 11
    한국개발연구원 P 2023.11
    PDF
    목차
    주요 경제지표

    요약 및 평가

    경제동향 주요지표
     1.  국내총생산(2015년 불변가격)
     2.  경기
     3.  소비
     4.  설비투자
     5.  건설투자
     6-1. 수출, 수입 및 교역조건
     6-2. 경상수지 및 금융계정
     7.  고용 및 임금
     8.  물가
     9-1. 금융시장 (I)
     9-2. 금융시장 (II)
     10.  부동산시장
     11-1. 세계경제 동향 (I)
     11-2. 세계경제 동향 (II)
    요약













































































    최근 우리 경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 여건은 여전히 불확실한 모습
         
      서비스업생산의 완만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 업생산과 수출의 부진이 완화되고 있음
         
      - 여행수요 확대로 관련 서비스업생산이 양호한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며, 건설업생산도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관련 고용도 반등함
         
      - 이와 함께 반도체를 비롯한 대부분의 수출 품목에서 부진이 완화
         
      - 다만, 고금리 기조로 인해 상품소비와 설비투자는 부진을 지속
       
      그러나 미국의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중동 정세 불안이 고조되며 대외 불확 실성은 상존
         
      - 미국 시장금리 상승의 영향이 파급되며 국내 시장금리도 상승함에 따라 내수 경기를 제약할 가능성
         
      - 아울러,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확대
  • Economic Bulletin, November 2023
    KDI 경제정보... 54 P 2023.10
    PDF
    목차
    ■ Current Economic Trends
     Overview
     Economic Activity
     1. Gross domestic product
     2. Industrial output and composite index of business indicators
     3. Private consumption
     4. Facility investment
     5. Construction investment
     6. Exports and imports
     7. Employment
     8. Prices
      8.1 Consumer prices
      8.2 International oil and commodity prices
     9. Real estate market
      9.1 Housing market
      9.2 Land market
     Financial Markets
     1. Stock market
     2. Foreign exchange market
      2.1 Foreign exchange rates
      2.2 Foreign exchange reserves
     3. Bond market
     4. Money market
     Public Finance
     1. Fiscal balance
     2. National debt
     3. External debt

    ■ Economic News Briefing
     1. Korea’s economy grows 0.6% in Q3 2023
     2. DPM Choo suggests ‘restoration’ approaches at G20 FMCBG meeting
     3. Inbound FDI records US $24.0 billion in Q3 2023

    ■ Statistical Appendices
  • KDI 북한경제리뷰 2023년 10월
    한국개발연구원 40 P 2023.10 KDI 북한경제리뷰
    PDF
    목차
    동향과 분석
     북한 시장물가 조사방법 및 개선점 | 정승호
     국제비교로 본 북한의 미래세대 육성 실태 | 홍제환

    북한경제연구협의회
     신진 북한연구자들의 관점: 연구의 어려움과 발전방향 | 남진욱, 윤세라, 강성현, 임사라, 오윤정
    요약
    북한의 시장화 진전에 따라 시장물가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데이터는 북한 경제 분석에 필수적이며, 북한 주민의 소득과 소비 패턴 이해에 기여한다. 국내에서 북한 물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세 기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현재 조사 방법의 전반적인 이해와 개선점을 제시한다. 미래 세대의 육성은 여러 국가의 핵심 관심사이며, 북한 역시 초기부터 교육과 보건 개선에 주력해 왔지만, 영양 상태와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국제기준을 활용해 북한의 미래 세대 육성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먼저 국제사회의 평가 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북한의 실태를 분석해 종합적인 평가를 제시한다.

    오랜 분단 지속으로 남한 젊은이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 연구는 자료 접근성 부족과 지원의 부재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새로운 연구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KDI 북한경제연구실은 대학원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연구 동기와 고충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나라경제 2023. 11
    KDI 경제정보... 70 P 2023.10
    목차
    ■ 특집: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 특별인터뷰: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
    ■ 이슈: 펄펄 끓는 지구, 이제는 지구열대화 시대
    ■ 연중기획: 어디에 살아도 행복한 우리 ⑪ - 국토의 모세혈관을 잇다

    ■ 경제정책해설
    · 다문화 교육여건 개선해 누구나 인재 될 수 있는 사회로 | 정윤경 교육부 교육복지정책과장
    · 자유·공정·안전·혁신·연대의 5대 기본원칙 아래 새로운 디지털 질서의 기본방향 제시 | 이강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전략팀장
    ·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 청년, 자립에서 마음건강 회복까지 돕는다 | 장영진 보건복지부 청년정책팀장
    · 경영권 위기에 처한 벤처기업, ‘복수의결권주식’에서 해답 찾는다 | 이상천 중소벤처기업부 벤처정책과장

    ■ 세계는 지금
    · 빠르게 바뀌는 개발협력 지형…ODA 효과 높이려면? | 손송희 주OECD대표부 주재원
    · MZ 렌즈로 본 WTO는 기회 가득한 무대 | 강유민 주제네바대표부 1등서기관

    ■ 글로벌 비즈니스 리포트
    · 아이들에 대한 배려가 곳곳에 녹아 있는 나라 | 박대희 KOTRA 영국 런던무역관 과장

    ■ 강양구의 과학 토크
    · 앨버트로스를 아십니까? | 강양구 지식큐레이터

    ■ 시평
    · 균형 있는 에너지 믹스로 복합적 에너지 위기에 대응해야 |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이 밖에도 <독서의 문장들>, <빅데이터로 본 생활변화관측기>, <오늘도 미식>, <1달 1음반> 등 다양한 읽을거리가 독자 여러분의 관심을 기다립니다.
  •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타당성재조사
    유재광 448 P 2023.10 타당성재조사: 철도
    PDF
    목차
    요약

    제Ⅰ장 타당성재조사의 개요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타당성재조사의 배경 및 기본방향

    제Ⅱ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 분석
     제2절 상위 및 지역계획 검토
     제3절 타당성재조사의 주요 쟁점

    제Ⅲ장 사업계획의 적절성 검토
     제1절 당초 사업계획 검토 내용 및 사업계획 변경
     제2절 사업목적의 적절성 검토
     제3절 설계기준의 적절성 검토

    제Ⅳ장 비용 추정
     제1절 기본방향
     제2절 총사업비 추정
     제3절 운영비 추정
     제4절 대체투자비 및 잔존가치
     제5절 연차별 투자계획

    제Ⅴ장 교통수요 추정
     제1절 개요
     제2절 기본자료 및 분석범위 설정
     제3절 기본자료의 수정
     제4절 수단선택 및 통행배정 모형
     제5절 수단선택 및 통행배정모형의 정산
     제6절 장래 교통수요 예측

    제Ⅵ장 편익 산정
     제1절 개요
     제2절 편익항목별 산정 방법
     제3절 편익산정 결과

    제Ⅶ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경제성 분석 결과
     제3절 민감도 분석

    제Ⅷ장 정정책성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사업추진 여건
     제3절 정책효과

    제Ⅸ장 지역균형발전 분석
     제1절 지역낙후도
     제2절 지역경제 파급효과

    제Ⅹ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제1절 AHP 분석에 의한 종합평가
     제2절 종합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 김천~구미 국도 건설공사
    박상준 355 P 2023.10 타당성재조사: 도로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타당성재조사의 개요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선행연구 검토결과
     제3절 타당성재조사의 개요

    제Ⅱ장 기초자료 분석 및 조사의 쟁점
     제1절 기초자료 분석
     제2절 상위 및 관련 계획 검토
     제3절 타당성재조사의 주요 쟁점

    제Ⅲ장 사업계획의 적절성 검토
     제1절 사업목적의 적절성 검토
     제2절 시설계획의 적정성 검토

    제Ⅳ장 비용 추정
     제1절 개 요
     제2절 총사업비 추정
     제3절 유지관리비 추정
     제4절 연차별 투입계획

    제Ⅴ장 교통수요 추정
     제1절 기존연구의 수요 검토
     제2절 기본자료 설정
     제3절 분석의 범위 설정
     제4절 기본 자료의 수정
     제5절 통행배정모형의 전제 및 정산
     제6절 장래 교통수요 추정

    제Ⅵ장 편익 산정
     제1절 편익 산정의 개요
     제2절 항목별 편익 산정방법
     제3절 편익 산정 결과

    제Ⅶ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경제성 분석 개요
     제2절 경제성 분석 결과
     제3절 민감도 분석

    제Ⅷ장 정책성 분석
     제1절 정책성 분석의 개요
     제2절 사업추진 여건
     제3절 정책 효과

    제Ⅸ장 지역균형발전 분석
     제1절 분석 체계
     제2절 지역낙후도
     제3절 지역경제 파급효과

    제Ⅹ장 종합평가 및 정책 제언
     제1절 AHP를 활용한 사업의 종합 판단
     제2절 종합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 KDI 경제동향 2023. 10
    한국개발연구원 59 P 2023.10
    PDF
    목차
    주요 경제지표

    요약 및 평가

    경제동향 주요지표
     1.  국내총생산(2015년 불변가격)
     2.  경기
     3.  소비
     4.  설비투자
     5.  건설투자
     6-1. 수출, 수입 및 교역조건
     6-2. 경상수지 및 금융계정
     7.  고용 및 임금
     8.  물가
     9-1. 금융시장 (I)
     9-2. 금융시장 (II)
     10.  부동산시장
     11-1. 세계경제 동향 (I)
     11-2. 세계경제 동향 (II)
    요약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모습
         
      대부분의 품목에서 수출 감소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반도체생산이 일부 회복되면서 제조업의 부진이 완화됨.
         
      - 제조업에서 생산 감소폭이 크게 축소되고 평균가동률이 반등하는 등 부진 완화를 시사하는 신호가 점증함.
         
      - 이와 함께 건설기성은 공사비 증액과 공사 재개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
         
      다만, 미국의 통화긴축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는 등 대외 불확실성은 상존하는 모습
         
      - 미국의 통화긴축 장기화 기대가 확산됨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도 상승하면서 경기 부담요인으로 작용
         
      -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소비 여력을 제약할 가능성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