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공투 연구보고서 196 건

  • 목차
    요 약

    제Ⅰ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제Ⅱ장 COVID-19과 글로벌 인프라 논의 흐름
     제1절 COVID-19의 글로벌 영향 및 대응
     제2절 COVID-19과 인프라 민간투자사업(PPP)

    제Ⅲ장 COVID-19에 따른 주요국의 인프라 정책동향
     제1절 주요국의 COVID-19 현황
     제2절 미국
     제3절 일본
     제4절 영국
     제5절 한국

    제Ⅳ장 결론

    참고문헌
  • 목차
    요 약

    제Ⅰ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제Ⅱ장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별 해지시지급금 산정규정 및 현황
     제1절 해지시지급금 산정 규정
     제2절 개별 사업의 실시협약 상 해지시지급금 현황
     제3절 해외사례

    제Ⅲ장 신규 추진방식(투자위험분담형과 혼합형) 해지시지급금 사례 분석 및 쟁점
     제1절 신규 추진방식 협약 사례 분석
     제2절 신규 추진방식 해지시지급금 관련 쟁점
     제3절 신규 추진방식 해지시지급금 관련 개선방향

    제Ⅳ장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별 해지시지급금의 비교 분석
     제1절 BTO 추진방식(BTO, 투자위험분담형, 혼합형)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제2절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별 해지시지급금 민감도 비교 분석
     제3절 BTO와 BTL 해지시지급금 산정방식 차이의 비교 분석

    제 Ⅴ장 제도개선 및 정책제언
     제1절 제도개선방향
     제2절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민간투자사업의 원가구조에 관한 연구
    황희주 199 P 2021.12 정책연구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구성

    제Ⅱ장 민간투자사업의 원가구조에 대한 이론적 검토
     제1절 원가와 원가구조
     제2절 민간투자사업의 원가구조
     제3절 공공요금과 원가

    제Ⅲ장 사업유형별 민간투자사업의 원가구조와 사업수익률
     제1절 원가구조 분석의 개요
     제2절 사업유형별 사용료 구조
     제3절 원가구조에 따른 수요변동과 사업수익률

    제Ⅳ장 민간투자사업의 매출액 변동과 운영비
     제1절 개요
     제2절 실시협약과 실제 매출액 및 운영비 비교
     제3절 매출액과 운영비의 관계 실증분석
     제4절 소결

    제Ⅴ장 물가상승에 따른 원가구조
     제1절 배경
     제2절 사업유형별 물가상승률 반영방법
     제3절 원가요소별 물가상승률
     제4절 소결

    제Ⅵ장 결론
     제1절 분석 결과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 목차
    요 약

    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제3절 정량적 VfM의 개요 및 선행연구 검토

    제Ⅱ장 정량적 VfM 개선 방안 검토
     제1절 투자위험분담형 사업의 VfM 현황 검토
     제2절 정량적 VfM 일관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 검토

    제Ⅲ장 민간투자 실행대안 작성 방안 검토
     제1절 민간투자 실행대안 검토의 개요
     제2절 민간투자 실행대안의 비용 산정
     제3절 민간투자 실행대안 분석의 일관성 및 효용성 제고 방안

    제Ⅳ장 종합결론

    참고문헌
    부록
  • 목차
    ■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시행령

    [시행 2020. 10. 1.] [법률 제17148호, 2020. 3. 31., 일부개정]
    [시행 2021. 1. 5.] [대통령령 제31380호, 2021. 1. 5., 타법개정]

    제1장 총칙
    제2장 사회기반시설사업
    제3장 감독
    제4장 보칙
    제5장 벌칙

    ■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

    [기획재정부공고 제2021-120호]

    제1편 민간투자정책 추진방향 및 2021년도 투자계획
    제2편 민간투자사업 추진 일반지침
    제3편 민간투자사업 추진절차
    제4편 보칙
    부칙
    별표
    붙임
  • 2020년도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연차보고서
    공공투자관리센터 294 P 2021.07 연차보고서
    PDF
    목차
    제1부 주요 업무 및 실적

     제Ⅰ장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소개
     제Ⅱ장 재정투자평가사업의 개요
     제Ⅲ장 재정투자평가사업 수행 실적
     제Ⅳ장 민간투자지원사업의 개요
     제Ⅴ장 민간투자지원사업 수행 실적
     제Ⅵ장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개요 및 수행 실적
     제Ⅶ장 정책연구 및 정책서비스 수행 실적
     제Ⅷ장 조세특례 성과평가사업의 개요 및 수행 실적

    제2부 2020년도 사업별 요약표

     제Ⅰ장 2020년도 재정투자평가사업 사업별 요약표
     제Ⅱ장 2020년도 민간투자지원사업 사업별 요약표
     제Ⅲ장 2020년도 정책연구 과제별 요약표
     제Ⅳ장 2020년도 교육 및 국제협력 과제별 요약표
     제Ⅴ장 2020년도 조세특례 성과평가 사업별 요약표

    참고 문헌
  • 재정투자사업의 정책효과 적용 연구
    이승헌 430 P 2021.04 정책연구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제2절 정책성 분석 체계 개편 및 관련 연구 검토
     제3절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론

    제Ⅱ장 도로⋅철도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 적용
     제1절 도로⋅철도 부문 사업의 특성
     제2절 정책효과 평가항목 검토
     제3절 소결 및 제언

    제Ⅲ장 문화⋅관광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 적용
     제1절 문화⋅관광 부문 사업의 특성
     제2절 정책효과 작성 방법론
     제3절 소결 및 제언

    제Ⅳ장 의료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 적용
     제1절 의료 부문 사업의 특성
     제2절 정책효과 작성 방법론
     제3절 소결 및 제언

    제Ⅴ장 정보화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 적용
     제1절 정보화 부문 사업 정책성 분석 평가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제2절 정보화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 재정의
     제3절 정보화 부문 사업의 정책효과의 별도항목
     제4절 정보화 부문 사업 정책성 분석의 특수평가 항목
     제5절 소결 및 제언

    제Ⅵ장 정책효과 분석
     제1절 정책성 분석 체계
     제2절 정책효과 분석 내용

    제Ⅶ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종합 결론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 통행시간 신뢰성 향상 편익 산정 연구
    백승한 241 P 2020.12 정책연구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향 및 주요 내용

    제Ⅱ장 선행연구 고찰
     제1절 통행시간 신뢰성에 관한 연구 방법론
     제2절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모형
     제3절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제4절 시사점 도출 및 연구방향 설정

    제Ⅲ장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모형
     제1절 도로부문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모형
     제2절 철도부문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모형

    제Ⅳ장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제1절 도로부문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제2절 철도부문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제3절 추정 결과 종합 및 이슈

    제Ⅴ장 통행시간 신뢰성 향상 편익 사례 분석
     제1절 도로부문 사례 분석
     제2절 철도부문 사례 분석

    제Ⅵ장 종합결론

    참고 문헌
    부 록
  • 전력가격 원단위 적용방식 탐색연구
    김동준 87 P 2020.12 정책연구 자료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제Ⅱ장 연구방법론
     제1절 평가 사업에서 SMP 적용 현황
     제2절 선행연구와 방법론

    제Ⅲ장 SMP 추정 방법론 및 추정치 산정
     제1절 자료의 선정
     제2절 SMP 예측

    제Ⅳ장 결론
     제1절 분석 결과
     제2절 결론

    참고문헌
    부 록
  • 민간투자사업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김탁경 P 2020.12 정책연구
    PDF
    목차
    요 약

    제Ⅰ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주요 내용

    제Ⅱ장 민간투자사업의 현황 및 실적분석
     제1절 민간투자사업 제도 현황
     제2절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제Ⅲ장 민간투자사업의 적정규모 산정
     제1절 민간투자사업의 적정규모 추정의 필요성과 방법론
     제2절 경제여건에 대한 중기적 전망 및 민자투자 주요현황
     제3절 민간투자사업의 적정규모 도출을 위한 이론적 실증분석
     제4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Ⅳ장 민간투자사업의 사업구조 및 참가자 분석
     제1절 사업구조 및 참가자 현황
     제2절 참가자 심층면담 결과
     제3절 민간투자사업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결과

    제Ⅴ장 민간투자사업 중장기 정책방향
     제1절 참여주체별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 결과 반영 방안
     제2절 민간투자사업 확대 방안
     제3절 고시사업 활성화 방안
     제4절 민간제안제도 관련 정책방향
     제5절 정부지원(Government Supports) 제도의 검토

    제Ⅵ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4
     제1절 종합결론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