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적격성조사 현황
1. 인구 추정
2. 수요 추정
3. 비용 산정
4. 편익 산정
제3절 연구의 내용
제Ⅱ장 인구산정
제1절 인구 전망 방법
1. 기존의 시군구 인구 전망 방법
2. 사례 정리
3. 외국의 인구 전망 사례
4. 인구 전망 방법
제2절 조성법
1. 자연적 인구 증가
2. 사회적 인구 증가
3. 조성법의 장점
4. 지침
제3절 외부 인구 유입률의 추정 I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민감도 분석
제4절 외부 인구 유입률의 추정 Ⅱ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지침
제5절 유동 인구와 상주인구의 구분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지침
제Ⅲ장 하수처리시설의 수요 및 비용
제1절 수요 산정
1. 하수처리시설의 수요 추정
2. 기초 조사
3. 하수도 시설의 계획
4. 계획 오수량
5. 계획 하수수질 및 변동
6. 하수처리시설의 배치, 구조 및 기능검토
제2절 비용 산정
1. 개 요
2. 민간제안사업의 정부실행대안의 비용 산정
3. 정부고시사업의 정부실행대안의 비용 산정
4. 정부고시사업의 민자투자대안(PFI) 비용 산정
제Ⅳ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수요 및 비용
제1절 수요 산정
1. 개요
2. 전국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조사
3. 생활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4. 경제적, 지역적 여건에 따른 발생원단위 변동
5. 생활폐기물 정책변화에 따른 발생변동 추이
6. 외국의 사례
7. 결론
제2절 비용 산정
1. 소각시설
2. 매립시설
제Ⅴ장 편익산정
제1절 편익분류
제2절 하수처리 및 폐기물처리에 따른 편익
1. 하수처리시설의 편익
2. 폐기물처리시설의 편익
제3절 환경 질 가치의 편익추정방법
1. 시장적 방법
2. 현시선호방법
3. 진술선호방법
4. 편익이전(Benefit transfer)
제4절 하수처리 및 폐기물 처리시설의 편익추정방법
1. 하수처리시설의 편익 추정방법
2. 폐기물처리시설의 편익 추정방법
제5절 향후 분석 방향
1. 해외 사례 분석
2. 편익분석의 방향
제Ⅵ장 적격성 조사
제1절 적격성 조사의 주요 내용
1. 기본 방법
2. 정량적 VFM 분석
3. 정성적 VFM 분석
4. 민간투자실행대안의 구축
제2절 적격성 조사의 주요 사항
1. PFI 대안 정부재정지원 비율의 적정성
2. PSC 대안의 낙찰률 적용
3. 추정수요와 PFI 수요 차이에 따른 시설용량 변경
4. 처리구역이 동일한 타 민간투자사업의 영향 분석
5. 보험료의 적용
참고문헌
제Ⅰ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적격성조사 현황
1. 인구 추정
2. 수요 추정
3. 비용 산정
4. 편익 산정
제3절 연구의 내용
제Ⅱ장 인구산정
제1절 인구 전망 방법
1. 기존의 시군구 인구 전망 방법
2. 사례 정리
3. 외국의 인구 전망 사례
4. 인구 전망 방법
제2절 조성법
1. 자연적 인구 증가
2. 사회적 인구 증가
3. 조성법의 장점
4. 지침
제3절 외부 인구 유입률의 추정 I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민감도 분석
제4절 외부 인구 유입률의 추정 Ⅱ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지침
제5절 유동 인구와 상주인구의 구분
1. 분석 방법
2. 자료와 변수
3. 추정 결과
4. 지침
제Ⅲ장 하수처리시설의 수요 및 비용
제1절 수요 산정
1. 하수처리시설의 수요 추정
2. 기초 조사
3. 하수도 시설의 계획
4. 계획 오수량
5. 계획 하수수질 및 변동
6. 하수처리시설의 배치, 구조 및 기능검토
제2절 비용 산정
1. 개 요
2. 민간제안사업의 정부실행대안의 비용 산정
3. 정부고시사업의 정부실행대안의 비용 산정
4. 정부고시사업의 민자투자대안(PFI) 비용 산정
제Ⅳ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수요 및 비용
제1절 수요 산정
1. 개요
2. 전국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조사
3. 생활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4. 경제적, 지역적 여건에 따른 발생원단위 변동
5. 생활폐기물 정책변화에 따른 발생변동 추이
6. 외국의 사례
7. 결론
제2절 비용 산정
1. 소각시설
2. 매립시설
제Ⅴ장 편익산정
제1절 편익분류
제2절 하수처리 및 폐기물처리에 따른 편익
1. 하수처리시설의 편익
2. 폐기물처리시설의 편익
제3절 환경 질 가치의 편익추정방법
1. 시장적 방법
2. 현시선호방법
3. 진술선호방법
4. 편익이전(Benefit transfer)
제4절 하수처리 및 폐기물 처리시설의 편익추정방법
1. 하수처리시설의 편익 추정방법
2. 폐기물처리시설의 편익 추정방법
제5절 향후 분석 방향
1. 해외 사례 분석
2. 편익분석의 방향
제Ⅵ장 적격성 조사
제1절 적격성 조사의 주요 내용
1. 기본 방법
2. 정량적 VFM 분석
3. 정성적 VFM 분석
4. 민간투자실행대안의 구축
제2절 적격성 조사의 주요 사항
1. PFI 대안 정부재정지원 비율의 적정성
2. PSC 대안의 낙찰률 적용
3. 추정수요와 PFI 수요 차이에 따른 시설용량 변경
4. 처리구역이 동일한 타 민간투자사업의 영향 분석
5. 보험료의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