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 사전 검토의 필요성
2. 기존 정보화사업 평가의 한계
3. 예비타당성조사의 법적 근거 및 의의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의 방법론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사전준비
1. 중복성 검토의 필요성 및 절차
2.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제2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추진 경위 및 추진주체
3. 사업의 내용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조사의 쟁점 도출
제3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기술적 타당성 분석의 평가체계
제2절 정보시스템 범위 분석
1. 필요성 및 절차
2. 신규 정보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
3. 프로젝트의 범위 검토
4. 분석결과의 정리
제3절 IT 시장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검토
1. IT 시장성숙도 부합성의 평가 배경
2. 정보기술영역 분류 및 평가대상 정보기술 선정
3. 기술 요소별 시장성숙도 분석
4. 기술 요소별 도입 및 활용수준 분석
5. 정보화 방향성과의 부합성 검토 및 정보화 목표에 대한 기여도 평가
6. 전체적인 분석결과 도출
제4절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1.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개요
2.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의 틀
3.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제5절 상호운용성 및 재사용체계 평가
1. 상호운용성 평가 배경
2. 상호운용성 분석 방법
3. 상호운용성 검토를 위한 기본 원칙과 표준
4. 재사용체계 분석 방법
5. 재사용체계 평가관점
제6절 사업수행 준비도 평가
1. 개요
2. 프로젝트 조직 구성
3.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의지
4. 시스템 운영 및 관리 능력
5. 기술의 외부 의존도
6. 준비 정도 종합평가
제7절 기술적 위험 분석
1. 개요
2. 위험 요인 분석
3. 위험 평가
제8절 시스템 용량 산정의 적정성 검토 78
1. 개 요
2. 용량산정 개념 및 대상
3. 용량산정의 절차
4. H/W 요소별 용량산정 방식
5. 용량산정 사례
제4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목적
2. 분석의 틀
3. 고려사항
제2절 편익 추정
1. 편익의 식별 및 분류
2. 편익 항목선정
3. 편익의 측정 방법
제3절 비용추정
1. 개요
2. 비용 요소의 분석
3. 정보화사업 비용의 추정 방법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1. 평가 방법
2. 경제성 분석 절차 및 과정
3. 민감도 분석
제5절 재무적 타당성 분석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2. 분석기법
3. 비용과 수입의 추정
4. 재무적 할인율 산정
5.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제5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의의
2. 분석의 틀
제2절 분석의 기준 및 내용
1. 상위계획과의 관련성
2. 관련정보화 사업과의 연계효과
3.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4. 관련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5. 사업추진 의지 및 관련기관 협조체계
6. 조직혁신효과
7. 사업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8. 사업의 특수항목 평가
제6장 종합평가 :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2. AHP기법의 개요
3. 평가자 선정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대상 사업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concluding)
8.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정보화부문사업 예비타당성 시범조사 결과
부록 2. PulseNet 구축사업 AHP 평가를 위한 설문
부록 3. 비용추정 양식
부록 4. 사업계획서 작성 양식 예시
부록 5. 산업연관효과분석
제1장 서론
제1절 예비타당성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 사전 검토의 필요성
2. 기존 정보화사업 평가의 한계
3. 예비타당성조사의 법적 근거 및 의의
제2절 예비타당성조사의 방법론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의 사전준비
1. 중복성 검토의 필요성 및 절차
2.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제2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추진 경위 및 추진주체
3. 사업의 내용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조사의 쟁점 도출
제3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기술적 타당성 분석의 평가체계
제2절 정보시스템 범위 분석
1. 필요성 및 절차
2. 신규 정보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
3. 프로젝트의 범위 검토
4. 분석결과의 정리
제3절 IT 시장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검토
1. IT 시장성숙도 부합성의 평가 배경
2. 정보기술영역 분류 및 평가대상 정보기술 선정
3. 기술 요소별 시장성숙도 분석
4. 기술 요소별 도입 및 활용수준 분석
5. 정보화 방향성과의 부합성 검토 및 정보화 목표에 대한 기여도 평가
6. 전체적인 분석결과 도출
제4절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1.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개요
2.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의 틀
3. 정보기술 인프라 평가
제5절 상호운용성 및 재사용체계 평가
1. 상호운용성 평가 배경
2. 상호운용성 분석 방법
3. 상호운용성 검토를 위한 기본 원칙과 표준
4. 재사용체계 분석 방법
5. 재사용체계 평가관점
제6절 사업수행 준비도 평가
1. 개요
2. 프로젝트 조직 구성
3.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의지
4. 시스템 운영 및 관리 능력
5. 기술의 외부 의존도
6. 준비 정도 종합평가
제7절 기술적 위험 분석
1. 개요
2. 위험 요인 분석
3. 위험 평가
제8절 시스템 용량 산정의 적정성 검토 78
1. 개 요
2. 용량산정 개념 및 대상
3. 용량산정의 절차
4. H/W 요소별 용량산정 방식
5. 용량산정 사례
제4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목적
2. 분석의 틀
3. 고려사항
제2절 편익 추정
1. 편익의 식별 및 분류
2. 편익 항목선정
3. 편익의 측정 방법
제3절 비용추정
1. 개요
2. 비용 요소의 분석
3. 정보화사업 비용의 추정 방법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1. 평가 방법
2. 경제성 분석 절차 및 과정
3. 민감도 분석
제5절 재무적 타당성 분석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2. 분석기법
3. 비용과 수입의 추정
4. 재무적 할인율 산정
5.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제5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1절 개요
1. 의의
2. 분석의 틀
제2절 분석의 기준 및 내용
1. 상위계획과의 관련성
2. 관련정보화 사업과의 연계효과
3.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4. 관련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5. 사업추진 의지 및 관련기관 협조체계
6. 조직혁신효과
7. 사업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8. 사업의 특수항목 평가
제6장 종합평가 :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2. AHP기법의 개요
3. 평가자 선정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대상 사업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concluding)
8.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정보화부문사업 예비타당성 시범조사 결과
부록 2. PulseNet 구축사업 AHP 평가를 위한 설문
부록 3. 비용추정 양식
부록 4. 사업계획서 작성 양식 예시
부록 5. 산업연관효과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