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Ⅱ장 성과관리와 재정사업 심층평가
제1절 성과관리
1. 성과관리의 의의와 절차
2. 성과관리의 수단
제2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추진체계
제3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주요 논점
1. 사업평가의 특성
2. 사업의 개입논리
3. 사업평가의 주요 평가요소
4. 사업평가의 종류
제Ⅲ장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수행
제1절 기초작업
1. 평가목적 및 범위의 설정
2. 개입논리의 파악과 분석의제의 설정
제2절 평가모형의 수립
1. 평가모형의 종류
2. 무작위 실험모형
3. 準실험모형
4. 암묵적 모형
5. 인과관계 모형
6. 요 약
제3절 자료수집
1. 자료의 종류
2. 자료수집방법
제4절 분석방법
1. 통계분석
2. 정성적 정보의 분석
3. 중장기적 사업결과의 분석
4. 여러 가지 모형의 사용
5. 비용편익분석 및 비용효과분석
참고문헌
【부록】 성과지표의 설정이 어려운 경우에 대한 대처방안
1. 성과지표의 설정이 특별히 어려운 경우의 예
2.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정량적 자료
3. OMB가 제시하는 대처방안
요 약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성과관리와 재정사업 심층평가
제1절 성과관리
1. 성과관리의 의의와 절차
2. 성과관리의 수단
제2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추진체계
제3절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주요 논점
1. 사업평가의 특성
2. 사업의 개입논리
3. 사업평가의 주요 평가요소
4. 사업평가의 종류
제Ⅲ장 재정사업 심층평가의 수행
제1절 기초작업
1. 평가목적 및 범위의 설정
2. 개입논리의 파악과 분석의제의 설정
제2절 평가모형의 수립
1. 평가모형의 종류
2. 무작위 실험모형
3. 準실험모형
4. 암묵적 모형
5. 인과관계 모형
6. 요 약
제3절 자료수집
1. 자료의 종류
2. 자료수집방법
제4절 분석방법
1. 통계분석
2. 정성적 정보의 분석
3. 중장기적 사업결과의 분석
4. 여러 가지 모형의 사용
5. 비용편익분석 및 비용효과분석
참고문헌
【부록】 성과지표의 설정이 어려운 경우에 대한 대처방안
1. 성과지표의 설정이 특별히 어려운 경우의 예
2.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정량적 자료
3. OMB가 제시하는 대처방안